<민족문학사연구> 제66호(2018.4.30, 총 424면)가 발간되었습니다.
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.
구 홈페이지와 새 홈페이지에서 학술지 원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.
<책머리에> 화양연화 / 편집위원 장문석
<특집> 전환기의 서사적 모색: 19세기~20세기 초 서사문학 이어 읽기
정출헌 / 근대전환기, 고전서사 전통의 이월과 갱신: 채만식의 <심청전> 개작을 중심으로
조형래 / ‘소설(小說)’의 사실, 법률과 재판: <와사옥안>과 이해조의 <구마검>, <구의산>을 중심으로
양문규 / 한국 근대소설의 구어전통 계승
<논문>
고은임 / 한글 장편소설의 동성애적 감성 형상화 장면: <소현성록>, <하진양문록>, <명행정의록>을 중심으로
손혜리 / 성해응(成海應)의 서북지역에 대한 인식과 비판: <속죄언(續罪言)>을 중심으로
이경돈 / 유흥, 악취미의 모더니티와 쾌락의 임계
오자은 / 근대의 신화와 불화의 윤리: <당신들의 천국>과 <백마의 기사>에 나타난 간척 모티프를 중심으로
장경남 / 남북한 소설의 이순신 형상화 양상 비교
<쟁점>
권명아 / 수치스런 몸의 역사: 보이지 않는 역사적 원천과 풍속 통제의 자연화
김항 / 혁명을 팔아넘긴 남자: 유폐되는 혁명과 음모 서사의 틈입
<자료 / 해제>
박진영 / 번역된 여성, 노라와 시스(西施)의 해방
궈모뤄(郭沫若) / <세 반역적 여성> 후기 [왕캉닝(王康寧) 옮김]
<추천석사논문>
김선 / 임노월의 예술론적 실천 양상과 그 의미: 동시대 문단과의 관련성과 표현주의 수용을 중심으로
<서평>
하신애 / 한국문학의 공간·장소와 헤테로토피아의 모험: 이경재 <한국 현대문학의 공간과 장소> (소명출판, 2017)